자신의 모습이 한없이 초라하다고 느낄 때 신세한탄하는 말
“나는 왜 이럴까?”
이에 파생되는 말로는,
“나는 왜 이렇게 못 생겼을까?”
“나는 왜 잘하는 게 하나도 없을까?”
“나는 왜 이렇게 머리가 나쁠까?”
“나는 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을까?”
급기야, 자신의 존재까지 부정하게 된다.
“나는 왜 태어났을까?”

이러니 매사에 기운이 없고 자존감이 낮지.
그런데, 나는 왜, 나는 왜, 나는 왜, 왜! 왜! 왜! 자조 섞인 이 말을 왜 꼭 부정적으로만 써야 할까?
오랜 습관으로 굳어질 대로 굳어진 부정적 사고를 바꾸기란 어렵고도 어렵다. 그러나, 일상을 곰곰이 돌아보면 감사할 일이 반드시 몇 가지는 있다. 그러므로! 신세한탄보다는 일상의 감사함으로 [나는 왜 이럴까]를 긍정문으로 바꿔보면 어떨까?
굳이 그렇게 까지 감사하면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 이유는,
어차피 살아야 하는 인생, 심적으로 정신적으로 편안하고 행복하기 위해서 아니겠나.
그리고, 긍정적인 생각은 스트레스 완화, 우울·불안 감소, 자존감 향상, 면역력 증진 등 수많은 과학적 연구와 실제 경험을 통해 엄청난 효과들이 입증되었다. 한없이 우울했던 시절을 극복한 나로서도 ‘감사’와 ‘바른 생각’ 과 함께 ‘긍정’이 최고의 자존감 높이는 법이라 확신한다.

Lady and Gentleman! 다음의 긍정문을 보세요!
▶ 매달 꼬박꼬박 월급이라는 생활비를 받고 있다. (나는 왜 이렇게 돈을 잘 벌까)
▶ 분에 넘치는 산해진미를 끼니마다 먹고 있다. (나는 왜 맨날 맛있는 것만 먹을까)
▶ 겨울은 따뜻하게, 여름은 시원하게, 봄은 따뜻하게, 가을은 선선하게 보낸다. (나는 왜 이렇게 좋은 환경에 살고 있는가)
▶ 나를 아직도 사랑해 주는 사람이 많다. (나는 왜 사랑을 많이 받을까)
▶ 휴대폰 하나로 온갖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나는 문명의 혜택을 왜 이리도 많이 받을까)
▶ 날마다 배우는 것이 있고, 경험이 쌓여 경력이 날로 높아진다. (나는 왜 이렇게 발전할까)
▶ 특별히 아픈 곳이 없다. (나는 왜 건강할까)
▶ 웃을 일이 많다. (나는 왜 즐거울까)
▶ 학교도 그럭저럭 잘 졸업했고, 군대도 무사히 잘 다녀왔다. (나는 왜 이렇게 사회 적응을 잘 할까)
▶ 시시각각 온갖 다양한 기회가 넘쳐 난다. (독서, 배움, 취미, 창업, 운동, 여행, 연애, 결혼…) (나는 왜 이렇게 기회가 많을까)
…
‘아아, 나는 정말 왜 이럴까? 뭐 하나 부족한 게 없잖아.’
복을 받으려면 복 받을 일을 하라 했는데, 나는 별로 하는 것도 없이 혜택이란 혜택은 다 누리고 있지 않은가.
주어진 이 모든 것에 진심으로… 깊이 감사하고 보답해야겠다.

방문해주신 부자님들,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기쁨은 사물 안에 있지 않다. 그것은 우리 안에 있다.”
리하르트 바그너